보리수나무과의 보리수 입니다. 봄에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가 익습니다. 술을 담궈먹으면 좋다고 하네요.
불교에서 말하는 보리수와도 다르고, 슈베르트가곡에 나오는 보리수와도 이름만 같고 전혀 다른 종류입니다.

우리가 흔히 보리수라 부르는 것에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흔히 보는 것은 절에가면 보리수나무 또는 염주보리수 나무라는 표찰이 달린 나무를 볼 수 있습니다.어떤곳에는부처님이 보리수나무 아래서 도를 깨우쳐서 보리수(菩提樹)라 부른다는 친절한 설명도 있습니다. 이 나무의 학문적 정식 명칭은 피나무과의 찰피나무 혹은 보리자나무입니다. 인도에는 이 나무가 없다네요. 단지 이 나무의 열매가 염주만들기에 좋아서 그렇게 불렸다고 합니다. 실제 부처님이 진리를 깨달은 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인도보리수라 불립니다. 뽕나무과입니다.

그리고 슈베르트의 가곡 보리수의 보리수는 피나무과의 유럽피나무입니다.


[보리수 2008.05.15 감태봉] 희거나 누런 통꽃이 핍니다.


[보리수 2008.05.15 감태봉]


[보리수 2008.05.15 감태봉] 높이 2~3m의 낙엽활엽수입니다. 감태봉에서 병풍산 사이의 우회로와 만나는 사거리에서

구분점

▶ 보리수 : 잎 표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는 은백색 인모가 있음, 5~6월에 꽃이피고10월경에 붉은색 열매가 열림, 일본, 중국, 인도, 히말라야 등지에도 분포, 높이 3~4m

▶ 민보리수나무 : 잎 뒷면에 은백색 인모가 없음, 5~6월에 꽃이피고10월경에 붉은색 열매가 열림

▶ 왕보리수 : 잎이 광타원형 또는 원형이고 표면에 성상의 압모가 있음, 5~6월에 꽃이피고10월경에열매가 열림

▶ 긴보리수 : 열매가 길이 7~8mm, 지름 5mm의 길쭉함., 5~6월에 꽃이피고10월경에열매가 열림

▶ 뜰보리수 : 일본원산의 보리수, 4~5월에 꽃이피고, 6~7월에 열매가 열림

▶ 보리밥나무(봄보리똥): 9~11월에 꽃이 피고 4~6월에 열매가 익음. 해안가에 주로 핌.

▶ 보리장나무(덩굴보리수나무, 덩굴볼레나무) : 덩굴성, 9~11월에 꽃이 피고 4~6월에 열매가 익음.

▶ 큰보리장나무 : 9~11월에 꽃이 피고 4~6월에 열매가 익음, 보리밥나무와 보리장나무의 교잡종

▶ 왕볼레나무 : 갈색줄기, 충무에서 주로 서식

절에서 보리수 나무라 불리는 종류(피나무과)

▶ 보리자나무 : 피나무과 피나무속 낙엽교목, 중국원산, 절에서 흔히 보리수라고 한다. 열매로 염주를 만든다.

▶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 피나무과 피나무속, 염주보리수라고도 불린다.

실제 인도에서 자라는 보리수 나무(무화과나무속, 국내에는 자라지 않음)

▶ 인도보리수(印度菩提樹) Ficus bengalensis Linn. :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열대성 상록교목, 가지가 사방으로 뻗어나면서 줄기에서 다시 뿌리가 내려와 땅속에 박히면 다시 뿌리가 된다. 영화속 정글에 나오는 나무.

▶ 염주보리수(菩提樹) Ficus religiosa Linn. : 뽕나무과 무화과나무

'용지봉의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골무꽃 꿀풀과 골무꽃속  (0) 2008.07.15
털중나리 백합과  (0) 2008.07.03
엉겅퀴 국화과  (0) 2008.05.20
은난초/은대난초  (0) 2008.05.19
큰꽃으아리 (으아리속)  (0) 2008.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