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과의 털중나리입니다. 우리 땅에 저절로 자라는 나리 종류 중에서 가장 일찍 예쁜 꽃을 피웁니다.
용지봉에서는 6월 하순부터 볼 수 있습니다. 참나리 다음으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키는 50~100cm로 작은 편입니다. 뿌리-인경은 참나리뿌리처럼 약으로 사용합니다.

[털중나리 2008.07.01 용지봉] 애기봉에서부터 정상까지 곳곳에 예쁘게 피어있습니다.


[털중나리 2008.07.01 용지봉] 잎은 좁고 뽀쪽합니다. 전체적으로 참나리에 비해 작습니다.


[털중나리 2008.07.01 용지봉] 줄기에는 작은 털이 밀생하고, 잎에도 미세모가 보입니다.


[털중나리 2008.07.01 용지봉] 한포기에 두세개의 꽃 송이가 피어납니다.


[털중나리 2008.07.01 용지봉] 검불은 반점이 진하게 나타납니다. 암술은 하나, 수술은 6개입니다. 꽃은 많이 말렸습니다.

다른 나리류와 구분

▶참나리(Lilium lancifolium Thunb) 줄기와 잎 사이에 검은 콩알 크기의 주아가 달린다. 이 주가가 무성생식을 한다.

▶털중나리(L. amablie Palibin)는 가장 일찍 꽃을 피우고, 산지에 흔하다. 줄기에 작은 털이 나 있다. 키가 작고 잎도 작다. 꽃은 땅이나 옆을 본다. 꽃은 점이 있고 뒤로 말린다.
-노랑털중나리(L. amabile var. flavum) 노랑꽃을 피운다. 강원도 대덕산에서 발견
-광릉털중나리(L. amabile var. kwangnungensis ) 점이 없고, 꽃이 조금 넓다.

▶중나리(L. leichtlinii var. tigrinum Nichols.)는 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 해안 가까운 곳에 드물게 보이고 7~8월에 꽃핀다. 털중나리보다 조금 더 크다.

▶땅나리(L. callosum) 꽃이 땅을향해 피며, 말림이 강하며,안쪽에 희미한 자색반점(callosus)
-노랑땅나리(L. callosum var. flavum) 전남지역 섬에 자라며 노란색 꽃을 피운다.

▶하늘나리(L. concolor var. partheneion ) 꽃이 하늘을 항햐 피고 뒤로 말림이 작고 점은 꽃의 안쪽에만 있다.
▶큰하늘나리(L. concolor var. megalanthum) 꽃이 훨씬 크고, 점이 있다.
▶날개하늘나리(L. davuricum Ker-Gawl.)는 낭림산 이북에 자생한다. 꽃잎이 크고넓고 줄기가 각져있고, 지느러미도 있다.

▶말나리(L. distichum Nakai)는 줄기 아랫쪽에 잎이 돌려나는 환생엽이 있다. 꽃이 옆을 향해 핀다.
▶섬말나리(L. hansonii Leichtl)는 울릉도에만 자생한다.누런꽃이 옆을 향해핀다.
-민섬말나리(L. hansonii for. mutatum )는 울릉도에만 자생한다.점이 없는 누런꽃이 옆을 향해핀다.
▶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는 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
▶지리산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 var. carneum nak.)는 꽃잎에 자주색 점무늬가 없다.
▶누른하늘말나리(L. tsingtauense Gilg var. flavum Wils.)는 하늘을 향하는 짙은 황색 꽃이 핀다.

▶솔나리(L. cernum Kom.)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잎은 솔잎처럼 가늘다.강원도 이북 깊은 산에서 자생한다.
-흰솔나리(L. cernum Kom. var. atropurpureum Bak.)는 흰색꽃이 핀다.
-검은솔나리(L. cernum Kom. var. candidium Nak.)는 검은 홍자색 꽃이 핀다.
▶큰솔나리(L. tenuifolium Fisch.)는 잎은 솔나리, 꽃은 땅나리를 닮았다. 충주, 평안도, 만주, 몽고지방에 자생.

▶뻐꾹나리(Tricyrtis macropoda Miq) 알록달록 연분홍색에 꼴뚜기같은 암술수술대

'용지봉의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린초 돌나물과  (0) 2008.08.15
산골무꽃 꿀풀과 골무꽃속  (0) 2008.07.15
보리수 보리수나무과  (0) 2008.05.24
엉겅퀴 국화과  (0) 2008.05.20
은난초/은대난초  (0) 2008.05.19